반응형 주산리61 밀꽃애기버섯(애기밀버섯) 잣나무 숲에서 발견했다. 2019.9.11. 학교 2019.9.25. 원주 주산리 2019. 10. 22. 양파광대버섯 자루의 기부가 정말 양파처럼 생긴 버섯이다.2019.9.25. 원주 주산리 2019. 10. 6. 푸른끈적버섯 도감과 비교해 볼 때 특징이 확실히 드러나지는 않으나보랏빛이 도는 풍선끈적, 푸른끈적, 민자주방망이 등과 비교해보니갓과 자루에 갈색빛이 도는 듯하여 일단은 동정한다.2019.9.25. 원주 주산리 2019. 10. 6. 애광대버섯 연황색의 갓과 턱받이가 눈에 들어온다.도움으로 동정하였다.2019.9.25. 원주 주산리 2019. 10. 5. 털접시버섯과 미동정 낙엽 쌓인 혼합림에서 딱 한 개체를 발견했다.진노랑색이 예쁘다.2019.9.25. 원주 주산리 2019. 9. 27. 백조각시버섯 생각보다 다양한 버섯이 관찰된다.도움을 받아 이름을 찾았다.2019.9.11. 학교 2019.9.25. 원주 주산리 2019. 9. 24. 얇은낭상체낙엽버섯 앙증맞은 갓의 크기와 기다란 자루의 비율이 눈에 들어온다. 자루의 윗부분 색이 아래보다 더 연하다. 2019.7.30. 원주 대덕리 2019.8.1. 원주 주산리 2019.8.13. 치악산휴양림 2019. 9. 23. 한입버섯 오래된 소나무 수피에 발생하는 버섯이다.소나무 특유의 냄새가 진하며술을 담그면 맛이 그만이다.2019.6.22. 가평 유명산 2019.9.25. 원주 주산리 2019. 7. 30. 배치레잠자리 여러 번 만났는데, 올려놓은 자료가 없다. 이제서야 올린다. 2019.7.14. 원주 매호리 2020.6.14, 원주 주산리 2019. 7. 27. 멍석딸기 가끔 따서 먹기도 하고 술도 담근 적이 있지만 녀석의 이름에는 관심이 없었다. 무조건 산딸기였다. 도감을 살피니 종류도 다양하다. 2016.7.28. 원주 2021.7.21. 원주 주산리 2019. 1. 2. 조개껍질버섯 개울 옆 경사진 비탈에서 발견했다. 노균이라 도감처럼 특징이 확실치는 않지만 갓의 테두리 간격이 좁고 아랫면 주름살은 황백색이다. 갓의 표면에는 이끼가 끼어 있다. 2018.12.25. 원주 고산리 2018.12.30. 원주 고산리 그래도 봤던 녀석이라 뒷면의 주름을 보니 이름이 생각난다. 이렇게 자주 만나다 보면 나중에 잘 구별할 수 있겠지 2019.2.24. 치악산휴양림갓의 색과 무늬는 다른 버섯과 혼동되는데주름살과 주변 환경을 보니 낯이 익다.2019.9.25. 원주 주산리 2018. 12. 26. 애모무늬잎말이나방 2016.7.9. 원주 대덕리 복잡한 짙은 줄무늬와 흰색의 테두리가 보인다. 2018.8.19. 제천 고명동 2019.7.9. 학교 2019.7.20. 원주 주산리 2021.7.29. 원주 대덕리 2021.8.7. 원주 대덕리 2021.8.11. 원주 대덕리 2018. 12. 18. 풀밭장님노린재 미나리과에서 자주 만났던 바른장님노린재와 비슷한 느낌의 녀석이다. 생김은 비슷하나 녀석은 이름에 걸맞게 미나리과가 아닌 풀잎에 앉아 있다. 2018.6.9. 주천 2019.7.6. 원주 호저면 2022.5.22. 원주 주산리 2018. 8. 23. 빨간촉각장님노린재 날도 흐리고, 시간도 늦고 해서 많이 어둡다. 간신히 형체만 기록했다. 무척 작은 녀석이고, 새로 만난 녀석이다. 2017.8.27. 원주 대덕리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이다.2019.8.4. 원주 주산리 2017. 9. 2. 메추리장구애비 배의 숨관이 장구애비에 비해 짧은 녀석이다. 아직은 약충으로 보인다. 2016.7.27. 원주 대덕리 과수원 샘물에 여러 마리가 살고 있다. 2019.8.1. 원주 주산리 2019.8.15. 원주 주산리 야간에 샘물 테두리로 나온 녀석이다. 숨관이 짧고 앞다리 넓적다리마디에 가시가 없다. 2020.3.18. 원주 주산리 2020.3.21. 원주 주산리 2020.6.14. 원주 주산리 2021.9.25. 강원 고성 2016. 9. 17. 고추나무 봄에 어린 순을 먹는다. 고추나물이라고 한다. 고추잎을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인데 사실 잘 모르겠다. 초록 숲에 하얀 꽃이 풍성하게 피어있다. 2016.5.15. 인제 연가리 열매의 모습 2016.6.5. 원주 대덕리 잎의 모습 2016.6.19. 원주 대덕리 2020.6.14. 원주 주산리 2016. 5. 21. 여덟무늬알락나방 수컷의 모습 검은 바탕의 날개에 노란 무늬가 각 4개씩 8개가 있다. 2006.6.23. 원주 암컷의 모습 2015.8.22. 영월 법흥사 2017.9.3. 원주 대덕리 2018.9.2. 원주 대덕리 2019.6.29. 원주 매호리 애벌레의 모습은 처음 관찰한다.나방애벌레 도감을 통해 정체를 파악했다.2019.8.1. 원주 주산리 2020.6.19. 원주 호저면 2015. 11. 29. 미국선녀벌레 2014.7.27. 원주 온 몸에 하얀 가루가 보인다. 식물의 즙을 빨아먹고 사는 매미목에 속한 녀석들로 여기저기 너무 많이 보인다. 녀석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시커멓게 변한 식물들의 모습과, 하얀 배설물 가루 등이 남아있어 지저분하다. 2015.7.28. 제천 2017.7.30. 제천 고명동 2017.8.2. 제천 고명동 약충의 모습2018.7.6. 원주 대덕리 2019.7.9. 학교 2018.7.22. 원주 대덕리 2018.8.19. 제천 고명동 2019.7.29. 원주 태장동 2019.8.1. 원주 주산리 2020.7.5. 원주 주산리 2020.7.25. 원주 호저면 2020.7.30. 원주 호저면 2015. 8. 9. 굴뚝나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카메라 렌즈만 향하면 바로 옆으로 날라 제대로 포착하기 어려운 녀석이다. 2010.7.22. 원주 호저면 2011.8.5. 원주 2012.7.25. 원주 약간 밝은 몸색을 지닌 녀석 2012.7.27. 원주 한여름 숲속에서 흔히 만나는 다소 큰 녀석이다. 이름처럼 날개 윗면과 아랫면이 굴뚝 연기를 접한 듯 검다. 2013.7.20. 원주 태장동 2015.7.3. 원주 호저면 2017.7.8. 원주 대덕리 2017.9.2. 원주 대덕리 2018.7.7. 원주 대덕리 모처럼 가까운 거리에서 기록했다. 2018.8.12. 함백산 2019.7.20. 원주 주산리 2019.7.23. 제주 가세오름 오름 정상부는 녀석들의 천국이었다.엄청 많다.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4. 10. 13. 꼬마장수말벌 2006.6.4. 원주 이름에 '꼬마'자가 들어가 있지만 실제로는 굉장히 큰 녀석이다. 2012.7.27. 원주 태장동 다른 말벌류와 섞여 오가피꽃에서 흡밀한다. 2018.9.2. 원주 호저면 2020.6.22. 원주 주산리 2014. 8. 14. 큰검정뛰어장님노린재 2011.8.21. 원주 호저면 2013.7.3. 원주 태장동 2013.8.9, 원주 태장동 무척 작은 녀석으로 칡잎이나 환삼덩굴 잎에서 잘 보인다.톡톡 잘 뛰어다닌다. 2008.9.5. 원주 호저면 2020.7.5. 원주 주산리 2020.9.8. 학교 2020.9.22. 학교 2014. 8. 8. 변색장님노린재 앞가슴등판에 검은색 둥근 점이 한 쌍 있다. 역삼각형의 작은방패판부터 날개가운데 부분을 따라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2014.7.2. 학교 2014.7.13. 치악산휴양림 2014.7.28. 원주 행구동 2014.8.11. 학교 2015.8.14. 영월 법흥사 2017.6.29. 학교 2019.9.25. 원주 주산리 2020.6.22. 원주 주산리 2014. 7. 26. 등얼룩풍뎅이 2008.7.1. 원주 2010.7.18. 원주 2011.7.6. 학교 2013.7.3. 원주 개체마다 색과 무늬가 각양각색인 녀석이다. 연노랑풍뎅이와 비슷해서 많이 혼동되기도 하나 얼룩덜룩한 딱지날개의 무늬들이 녀석을 알아보게 해 준다. 여름철 흔하게 보이는 녀석들 중 하나다. 2014.6.8. 원주 2015.6.17. 학교 2015.6.18. 학교 2015.7.2. 원주 행구동 2016.6.1. 원주 호저면 2016.6.26. 원주 2019.6.28. 학교 2019.7.20. 원주 주산리 2014. 6. 29. 알락수염노린재 알의 정체가 궁금하여 채집해 온 녀석이다. 관찰 기록 후 어느 녀석인지 알지 못해 창고에 저장되어 있다가 최근에 검색중 우연히 녀석의 정체를 파악하게 되었다. 2012.7.28. 원주 탈피를 한 모습. 껍질은 검게 변하고, 빠져나온 약충의 몸색은 진해졌다. 안타깝게도 적절한 습도와 먹이 식물을 유지해 주지 못해 성충까지의 사육은 실패했다. 녀석들이 박차고 나온 알껍질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2012.7.30. 원주 2014.8.10. 원주 행구동 2018.9.16. 원주 호저면 2019.7.20. 원주 태장동 몸색이 연한 녀석이다.2019.8.4. 원주 주산리 2013. 11. 16. 일본날개매미충 2013.8.8. 원주 태장동 2012.7.27. 원주 호저면 날개 양끝의 검은 무늬가 특징적이며 투명한 띠가 두 줄 있다. 나머지 부분은 황백색 가루로 덮여 있다. 2010.7.29. 원주 호저면 약충의 모습몸의 황색 무늬가 독특하다.2019.8.1. 원주 주산리 2013. 9. 16. 가시점둥글노린재 크기가 다소 작은 녀석으로 전반적으로 몸이 둥글다. 앞가슴등판 옆에 가시가 나와 있다. 2013.8.3. 원주 태장동 2013.8.9. 원주 태장동 산란중인 녀석인데 노안으로 인해 미처 알을 발견하지 못했다.집에 돌아와 모니터로 확인하니 떡하니 알의 존재가 보인다.이른 나이에 빨리 찾아온 노안이라 큰일이다.2014.7.28. 원주 행구동 2016.4.28. 학교 2019.7.6. 원주 호저면 2019.8.1. 원주 주산리 2020.8.16. 원주 대덕리 2013. 8. 28. 탈장님노린재 앞가슴등판 가운데에 검은색 원 무늬가 한 쌍 있다. 눈처럼 보인다. 특징적인 녀석이라 혼동할 여지는 없다. 2013.7.25. 원주 태장동 2014.6.29. 치악산휴양림 가끔씩 보는 녀석이지만, 생각만큼 사진으로 잘 기록하지는 쉽지 않다. 검은색 바탕의 몸에 제대로 포인트를 주었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어두운 계곡 참당귀 꽃 위에 앉아 있다. 2018.9.30. 인제 연가리 2019.8.4. 원주 주산리 2013. 8. 2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