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애넓적물땡땡이 Enochrus (Holcophilydrus) simulans 작은 녀석이라당연히 잎벌레 쪽을 찾으면이름이 나오겠지 했는데생각보다 한참을 헤맸다.선선한 날씨에 벽에 붙어 있었는데녀석이 물과 친할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치 못했다.2018.11.10. 원주 맹꽁이 서식지에서함께 살고 있는 녀석이다.2019.8.1. 원주 사진으로 나름 크게 기록했다고 생각했는데자료를 검색해보니딱지날개에 10개의 줄이 있는데중앙으로부터 3,5,7,9칸에별도의 굵은 점이 있다고 한다.컴퓨터로 다시 확대해보니있는 듯 하긴 한데명확히 보이지는 않는다.더 상세히 기록할 숙제가 생겼다.2020.3.22. 원주 2020.3.25. 원주 등화 불빛에 날아든 녀석2023.6.10. 남원등화에 날아온 녀석이다.2024.6.14. 원주 2018. 12. 11. 야노뾰족벌 추정 크고 배가 뾰족한 녀석이 암컷이라고 한다. 배의 생김을 보고 뾰족벌이라 붙여진 듯하다. 야노는 '야노니스'라는 학명을 그대로 썼다. 2018.8.7. 인제 연가리 2018. 12. 10. 산알락좀과실파리 화단 국화꽃에 작은 녀석들이 여러 마리 관찰된다. 2018.11.13. 원주 호저면 2018. 12. 5. 황줄왕잠자리 주로 남부지방에서 사는 녀석이라고 한다. 우연찮게 귀한 녀석을 뜬금없는 장소에서 관찰한다. 2009.7.16. 원주 대덕리 2018. 12. 1.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끝검은말매미충은 흔히 만났는데 이 녀석은 처음 만난다. 내가 좋아하는 몸색을 지녔다. 2018.11.10. 원주 2019.9.25. 원주 2018. 11. 25. 남방뿔노린재 Elasmostethus nubilus 처가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남쪽지방에서 주로 보이는 녀석이다.2018.11.10. 원주 2018. 11. 25. 삿뽀로잡초노린재 Rhopalus (Aeschyntelus) sapporensis 옆면을 보니다리의 색이 연황색이다.2024.8.1. 횡성 2018. 11. 25. 큰흰솜털검정장님노린재 2011.8.15. 원주 온 몸이 검고 흰 털이 균일하게 퍼져 있다. 기부의 검은 부분을 제외하고 다리 종아리마디의 색은 황갈색이다. 2013.8.14. 원주 2018. 11. 25. 새꼭지무늬장님노린재 Deraeocoris (Knightocapsus) ulmi 2018.11.5. 학교 무척이나 작은 녀석들이 플라스틱 의자에서 발발거린다. 온포무늬와 비슷한 느낌이 든다. 2018.11.13. 학교 2020.5.12. 학교 2018. 11. 25. 숫검은밤나방 2018.11.13. 원주 호저면 2018. 11. 24. 맵시좀파리매 Procyclotelus elegans 2014.6.8. 원주 검색을 해 보니좀파리매과에 속한 녀석으로 보이는데정확한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점박이초록파리처럼 겹눈에 띠무늬가 있다.2016.5.25. 원주 2018. 11. 23. 검정큰날개파리 Minettia longipennis 2011.8.15. 원주2015.8.16. 원주흔히 만날 수 있는 시커먼 녀석이다.보통 몸의 앞부분은 검게,날개 부분은 하얗게 보인다.2016.5.20. 원주 2018. 11. 23. 민무늬콩알락파리 Rivellia apicalis 2009.8.17. 원주몸에 별다른 무늬가 없는 녀석이라 이름이 '민무늬'이다.날개 끝에 검은 무늬가 다소 보인다.녀석의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흡사 방독면을 착용한 듯하다.2015.8.6. 원주 2018. 11. 23. 알통다리꽃등에 배의 검은 무늬도 특징적이고 무엇보다 굵은 뒷다리가 인상적이다. 2011.6.3. 원주 꽃등에류가 주변을 날아다니는데어라, 넓적다리가 굵네.이름을 찾아보니 알통다리다.2019.6.28. 학교 2018. 11. 20. 수중다리꽃등에 Helophilus virgatus 2012.7.7. 원주등에 굵은 검은 세로줄이 3개 있고배의 검은 무늬도 짙다.어린 시절을 물 속에서 보내기에'수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2018.7.28. 원주 볕 잘 드는 따뜻한 곳에 앉아몸의 온도를 올리고 있다.2020.4.8. 학교2020.7.21. 원주 2024.8.9. 횡성 2018. 11. 20. 자작나무가지나방 멸종위기종인 자작나무가지나방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색과 검은 점무늬까지 같은데 점의 수가 다소 많아 마음에 걸린다. 2012.6.16. 원주 2018. 11. 19. 원뿔나방과 Lamprystica_igneola 2016.5.12. 학교 2016.5.18. 학교 일주일 정도 지속적으로 관찰되던 녀석이다. 작은 나방인데 아직 국명은 없는 듯하다. 2016.5.19. 학교 2018. 11. 19. 젤러리원뿔나방 작지만 색도 튀고 예쁜 녀석이다. 2011.6.6. 원주 2018. 11. 15. 흰갈퀴애기잎말이나방 Epiblema foenella 날개의 큰 흰 무늬가 갈퀴의 모양을 닮아서 붙인 이름 같다.2011.7.17. 원주흰갈퀴 무늬가 달라 검색을 해 보니조금씩의 차이가 있다.2011.8.6. 원주2020.7.21. 원주2024.7.26. 원주 2018. 11. 15. 줄보라집명나방 Lista ficki 2011.7.29. 원주날개의 오렌지색 반원 무늬가 특징적이다.2013.8.11. 원주 2019.8.9. 인제 2023.6.10. 남원2024.6.14. 원주 2018. 11. 15. 쌍복판눈수염나방 Edessena hamada 날개에 있는 V자 모양의 흰 무늬가예사롭지 않다 생각했는데이름을 찾고 나니,이름 또한 독특한 녀석이다.2012.6.23. 원주등화에 여러 마리 관찰된다.2022.7.2. 제천2024.6.14-15. 원주 2018. 11. 15. 솔송나방 윗날개의 물결무늬와 작은 흰 점이 특징적인 녀석이다. 애벌레 시절에는 소나무과의 솔송나무 해충이라고 한다. 2011.8.5. 원주 2018. 11. 15. 별나방 대나방과 비슷해 잘못 동정했었는데 날개의 흰 점 무늬도 다르고 날개 윗면의 노란색 무늬가 도드라진다. 2011.8.6. 원주 2018. 11. 15. 재래꿀벌 Apis cerana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 양봉꿀벌에 비해 꿀의 생산량은 적으나 추위를 더 잘 견디며 배의 검은 줄도 굵고 짙다. 전반적으로 몸이 검은색을 띤다. 2018.11.13. 원주 2019.8.4. 원주 작약꽃에 꿀벌들이 많이 찾아왔다. 가만히 살피니 양봉꿀벌 틈새에 토종꿀벌 한 마리 보인다. 배에 노란색이 보이는 녀석이 양봉꿀벌이다. 2020.5.14. 원주 2018. 11. 15. 양봉꿀벌 Apis mellifera 2008.7.7. 원주2015.4.26. 원주 2016.4.28. 학교2016.6.26. 원주 우리가 흔히 꿀벌이라 부르는 녀석들은대부분 유럽에서 들여온 양봉꿀벌이다.재래종에 비해 꿀 생산량이 많고사육하기도 용이하다고 한다.배의 검은 줄무늬는 위로 갈수록 가늘고 흐리다.배는 전반적으로 노란색이 강하다. 2018.11.10. 원주 2018.11.13. 원주 양봉 채밀을 도와주면서 기록한 사진이다.막상 체험해 보니 벌이 순하다.2019.7.24. 제주 날이 더우니 물가 주변에녀석들이 바글거린다.2020.6.20. 원주 2020.6.22. 원주2022.4.22. 학교가시박 꽃을 찾아왔다.2024.10.5. 원주 2018. 11. 15. 꽃등에 녀석의 정확한 이름을 부르기 위해 검색을 하다 보니 배짧은꽃등에, 덩굴꽃등에 등 비슷한 녀석들이 나온다. 차이점을 잘 모르겠다. 일단 동정한다. 2018.11.10. 원주 호저면 2018.11.13. 원주 호저면 2018. 11. 14. 수원박기생파리 해질 무렵 짝짓기를 제대로 관찰한다. 2021.7.29. 원주 대덕리 2018. 11. 14.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73 다음 반응형